DART 배당금 확인 완벽 가이드 투자 고수처럼 공시 정보 읽는 법
- June 4, 2025
- Posted by: Xuan Song
- Category: canadasirishfest.com - 한국 카지노 사이트 신규 랭킹
주식 배당금 관리 어플 비교 더리치TheRich, 도미노 실사용 후기 : 네이버 블로그
2021년부터 기업 보고서의 목차가 변경되어서 ‘재무에 관한 사항’ 아래에 ‘배당에 관한 사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제눈에는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아직은 더리치 앱이 더 보기가 편한데 자꾸 보다보니 괜찮은 것 같기도 합니다. 저는 그중 많이들 쓰시는 더리치TheRich를 설치해 엑셀과 함께 사용해오다 최근 도미노 후기가 여기저기서 보여 한번 설치해서 사용해보았습니다. 자산, 부문, 산업, 유형, 국가별로 얼마나 많은 배당금을 받는지 확인하세요. 공시대상회사 목록에 ‘코’라고 되어있는 기업은 코스닥이며, ‘유’라고 되어있는 기업은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입니다. 그래서 위에 나타나는 ‘주식배당결정’, ‘현금배당결정’, ‘현금-현물배당결정’을 체크합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사용해본 더리치, 도미노 두 어플의 장점, 단점 위주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도미노와 더리치 모두 배당주 투자에 도움이 많이 되는 앱이니 장단점을 비교해 보면서 사용해 보세요. 제가 보유한 종목 중에 현대차, 현대차2우B의 경우 투자배당율은 10%가 넘었고, 매월 만원투자를 했던 JB금융지주의 투자배당율은 9.32%입니다. 배당 종목은 크게 바뀌지 않았지만 꾸준히 배당주 투자를 하면서 매년 배당금이 늘어났습니다.
대부분 기업들이 비슷한 시기에 공시를 하기 때문에 1개월 정도만 해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전체 주식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주주가 가진 지분의 수가 동일하더라도 주당 가치는 높아집니다. 배당금 1달러가 목표였던 저는 이제 20년 뒤엔 배당금 2000만원을 받아야지라고 목표를 상향하고 있습니다. 2021년 결산배당을 받으면서 배당금이 급격하게 늘었는데 이때 비중이 높았던 것은 현대차, 현대차2우B, 삼성화재, 신한지주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배당금 조회 방법, 세금 계산기 사용법, 투자 유의사항까지 깔끔히 정리해드립니다. 전통적으로 주식 투자에서 배당금은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익원이자 장기 투자자들에게 꾸준히 관심받는 요소입니다. 이번 배당은 언제 얼마나 주는지를 별도로 공시하는데 이런 배당 소식에 따라서 주가 널뛰기를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삼성전자는 친절하게도 아래의 주석을 통해서 분기 별 배당금을 361원 지급했다고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DART가 개편되면서 새롭게 추가된 기능인 ‘정기공시 항목별 검색’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도미노가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포스팅하면서 정리하다보니 일부 단점만 조금더 보완 or 내가 좀 익숙해지면 도미노가 더 활용하기 좋은 것 같기도 합니다. 2020년 7월에 키움증권 이벤트를 통해 첫 해외 주식 코카콜라를 사고 첫 배당금 0.35달러를 받으면서 추후에 1달러 받고 싶다고 작성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DART 배당금 확인 완벽 가이드 투자 고수처럼 공시 정보 읽는 법
배당주 투자자지만 지금까지 제가 canadasirishfest.com 얼마를 받았는지 궁금했는데 도미노앱을 통해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었네요. 초보 투자자도 따라 할 수 있는 배당금 자동화 시스템 구축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 보유종목에 관련된 기사를 볼 수 있고 커뮤니티 기능이 있어 다른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종목에 대한 의견 등을 참고 하기 좋음. 도미노앱과 더리치앱의 2024년 5월 정보를 누르니 예상 배당금 지급일과 배당 정보가 나옵니다. 도미노가 날짜별 배당금 정보 위주로 나온다면 더리치는 월배당인지, 분기배당인지 정보가 추출되고, 몇 주를 보유하고 있는지 정보도 추출됩니다.
- 매달 지급하는 월배당, 분기별로 지급하는 분기배당, 상반기와 하반기에 나누어 지급하는 반기배당, 마지막으로 1년에 한 번 지급하는 결산배당(연배당)이 있습니다.
- 가장 쉬운 방법은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홈트레이딩 시스템) 또는 MTS(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 DART 전자공시시스템은 배당 투자자에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보고입니다.
- 도미노 어플 역시 가입도 간단, 증권사 연동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자동으로 입력하거나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배당금 지급 여부와 금액, 지급일을 확인하는 방법을 모르면, 배당주 투자 전략을 제대로 세우기 어렵습니다.
매달 지급하는 월배당, 분기별로 지급하는 분기배당, 상반기와 하반기에 나누어 지급하는 반기배당, 마지막으로 1년에 한 번 지급하는 결산배당(연배당)이 있습니다. 수동으로 입력을 진행해야하는데, 저는 수동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수동 입력을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코스피, 코스닥을 구분해서 조회하려면 ‘상세조건’에서 ‘법인유형’을 선택하면 됩니다.
배당금 자동화 시스템은 배당금 관리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배당금을 받아 재투자하거나 생활비로 이체하는 과정을 자동화합니다. DART 공시를 통해 배당 정보를 확인할 때 몇 가지 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유용한 사항들이 있습니다. 아까 전에 찾아본 2020년 사업보고서에서 나온대로 작년에는 2994원을 배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 초기부터 매월 받는 배당금을 엑셀파일로 정리하지 않았던 저는 대략 얼마를 받았겠지라고 추측만 할 뿐 정확히 받은 배당 금액을 몰랐는데요. 배당 배당기준일과 배당 지급일을 추적하고, 이에 대한 알림을 받으세요. 이런 경우에는 가장 최근 분기의 보고서를 살펴보면 분기 배당으로 얼마를 주는지 찾을 수 있습니다.
쉽지는 않지만 매년 꾸준히 투자하고 배당주를 재투자하다 보면 어느 정도 이상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배당금 정보는 주식 투자 결정을 내리는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당금(Dividends)은 주식 투자자가 기업의 이익을 공유하는 중요한 수익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배당금 지급 여부와 금액, 지급일을 확인하는 방법을 모르면, 배당주 투자 전략을 제대로 세우기 어렵습니다.
배당 투자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장기적인 자산 증식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하지만 정확한 배당 정보를 얻는 것이 성공적인 배당 투자의 첫걸음입니다. 잘못된 정보나 소문에 의존하기보다는 기업이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자료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DART를 통해 투자자는 모든 상장기업의 배당 관련 공시를 포함한 다양한 경영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미국 주식 투자에 적합한 증권사
실제로 투자자가 받는 배당금은 이 금액에서 배당소득세(일반적으로 15.4%)를 원천징수한 후의 금액이 됩니다. 따라서 실제 수령액을 계산할 때는 이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DART에서 배당 관련 공시를 찾아보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예시로 마이크로소프트(MSFT)를 검색하여 이를 추가 한다고 하면 우측의 이미지와 같이 현재 가지고 있는 수량과 구매 가격을 입력하여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배당기준일과 D+2일 시스템의 이해주식은 매수 후 실제 주주명부에 등록되기까지 D+2일(거래일 기준 2일)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공시된 배당기준일에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리려면, 최소한 배당기준일 2거래일 전까지는 해당 주식을 매수하여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배당기준일이 9월 30일(금요일)이라면, 늦어도 9월 28일(수요일) 장 마감 전까지는 주식을 매수해야 해당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배당금을 받을 것인지, 배당기준일이나 지급일이 언제인지, 그리고 이 배당 지급과 관련된 뉴스를 확인하세요. Stock Events는 전 세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배당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누락된 미래 배당금을 추정하고, 중요한 이벤트를 놓치지 않도록 알림을 보내드립니다. 만약 해당 기업이 어떤 배당 방식인지 모를 경우에는 최근 1년의 ‘정기공시’를 조회한 후 가장 최근에 작성된 보고서를 참고하면 됩니다. DART 홈페이지에서 ‘정기공시’, ‘사업보고서’를 선택한 후 원하는 기업명을 검색합니다.